상단영역

본문영역

[기 고] 산남의진역사(山南義陣歷史) 110

  • 채널경북 webmaster@channelkb.co.kr
  • 입력 2023.05.17 16:07
  • 글씨크기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조충래

전원생활체험학교장

본보 논설주간 

74. 聞閒用上韻懷草史(문한용상운회초사) 

     시를 듣고 초사가 생각나서

 

山聾水啞月明時(산롱수아월명시) 

散步從容1)不覺遲(산보종용불각지) 

襟懷草野2)難求玉(금회초야난구옥) 

世事仙翁滿布碁(세사선옹만포기) 

如錦霜楓粧洞口3)(여금상풍장동구) 

暮江夕霧染山眉(모강석무염산미) 

傍人莫謂無心作(방인막위무심작)

草史來筵一笑期(초사래연일소기) 

 

산은 귀먹고 물소리도 말 없는 달 밝은 때

조용히 산보하다 늦는 줄도 몰랐네.

가슴 속에 초야를 품었으니 옥(玉)을 구하긴 어려워

세상일은 선옹(仙翁)의 바둑판에 채워두었네.

비단 같은 서리 맞은 단풍이 동구(洞口)를 꾸미고

저물녘 강에 저녁 안개 산 중턱을 물들이네.

이웃들아 내 마음이 지어냄이 없다 말아라!

초사(草史) 와서 자리 함께하여 한바탕 웃기를 기다리네. 

 

75. 又 또

 

菊史4)常逢草史時(국사상봉초사시) 

5)不覺語遲遲(위이불각어지지)  

生同俠藪長論(생동협수장론인)     

才劣文枰6)未學碁(재열문평미학기) 

依昔雄心遊紫陌7)(의석웅심유자맥) 

如今放跡靑眉8)(여금방적주청미) 

莫使男兒先挫氣(막사남아선좌기) 

百年猶有豈無期(백년유유기무기) 

 

국사(菊史)가 초사(草史)를 만날 때마다 

굼실굼실 이야기는 끝이 없네.

협객의 숲에서 함께 살며 늘 검[釰]을 논하였으나

바둑판에는 재주가 없어 바둑을 배우진 못했다네.

옛 그대로 웅심(雄心)을 품고 번화한 거리에서 놀더니

오늘에야 발걸음을 놓아 푸른 눈썹과 짝하였구나.

사나이가 먼저 기운을 꺾지는 말아야지 

백년을 오히려 어찌 기약함이 없을 수 있겠는가.

 

<산남의진유사(山南義陣遺史)29p> 동엄 정환직 선생 詩 

 

 

 

저작권자 © 채널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
개의 댓글

0 / 400
댓글 정렬
BEST댓글
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.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수정
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.
/ 400

내 댓글 모음

하단영역